목차
애드센스 수익금 하이퍼월렛 수수료, PayPal Hyperwallet 세금
애드센스가 미국 내 유튜버와 블로거들에 한해 PayPal Hyperwallet으로 수익금을 지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애드센스는 구글의 광고 서비스로, 전 세계 많은 블로거나 유튜버들이 이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최근 애드센스는 PayPal Hyperwallet을 통해 수익금을 지급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주로 미국에서 먼저 시행되고 있으며, 이 방식이 다른 국가로 확산될 가능성도 엿보이고 있습니다. 현재는 미국만 적용되는 정책입니다. 하지만, 미국 내에서 별 탈 없이 적용된다면, 현재 송금방식인 유니온캐시처럼 전 세계에 적용될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하이퍼월렛은 페이팔이 제공하는 글로벌 가상계좌 지급 솔루션으로, 수익금 지급이 (외국 애들 입장에서나) 빠르고 (외국 애들 입장에서나) 안전하게 이루어지며, 수령자는 다양한 방법(PayPAL, SWIFT 송금(유니온캐시), 머니그램 등)으로 지급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하이퍼월렛 방식이 유리한 점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https://support.google.com/adsense/answer/15292512?sjid=4607442036919126573-NC
하지만 미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에서는 페이팔 하이퍼월렛은 그다지 매력적인 지급 방식이 아닙니다. 해외에서 하이퍼월렛을 통해 수익금을 받는 것은 송금수수료, 환전수수료 면에서 다양한 부담이 따를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하이퍼월렛을 통해 애드센스 수익금을 받는 방법, 수수료, 세금 문제를 심도 깊게 분석하고, 어떤 방식이 가장 유리할지 살펴보겠습니다.
애드센스 하이퍼월렛 도입 배경
애드센스가 왜 하이퍼월렛을 이용하려 들까요? 사실 애드센스는 다계정 때문에 꽤 많은 골치를 앓고 있습니다. PIN코드나 SMS인증 등으로 거른다고 거르고 있지만, 전 세계 수십억을 대상으로 "너가 너냐?" 확인이 불가능합니다.
한국사람들은 이게 이해가 잘 안될겁니다. 아니? 주민등록번호 입력하면 되잖아? 그런 나라가 거의 한국 밖에 없습니다. 미국의 사회보장번호 같은 개념이지만, 한국처럼 철저하게 본인을 식별하는 기능은 거의 한국이 유일합니다. 물론 식별하려고 들면 구글이 그걸 못하겠습니까? 구글이 명예가 없지, 기술이 없는 회사가 아니잖슴? 기술은 있는데, 막상 이걸 하려면 돈이 상상보다 많이 듭니다. 돈이 없는 회사는 아니죠. 다만, 그런 작업을 한 것에 비해서 투자금액이 너무 큰 일인것이죠. 가성비가 안 나오는 짓이죠.
그런데 이걸 하이퍼월렛을 통하면 구글입장에서는 하이퍼월렛이 개인을 식별한 정보를 이용하고, 송금에 드는 수수료 역시 대폭 절감할 수 있으니, 매력적인 송금 수단으로 인식하는 듯합니다.
구글은 결코 블로거나 유튜버의 편의를 봐주는 회사가 아닙니다. 그들이 구글 자기네 직원도 아닌걸요. 자기네 구글 정직원도 자르기 전에나 복지를 퍼주지, 자를 땐 칼 같은 회사죠. 애드센스나 유튜버는 구글입장에서는 하청업체인겁니다. 고객이 아니에요. 고객은 고객이 회사에 돈을 주는 관계죠. 회사가 돈을 지급하는 관계는 하청입니다. 결코 친절하지 않습니다.
이번에 애드센스가 "PayPal Hyperwallet을 통한 수익금 지급 설정"을 시행하기 시작하는 이면에는 그런 복선들이 깔려 있는 것이죠. 남의 집에 불난 거 구경하다가 돌아와 보면 우리 집에도 불날 수 있습니다. 다계정 블로거들은 긴장 타야 하고, PAYPAL이면 세금 안내도 되겠네?라고 생각하신다면, 페이팔 송금 들어온 것도 다 세무당국이 추적합니다. 비트코인으로 받는 것 아닌 이상 모든 외환 송금은 국세청이 집계하고 있습니다.
하이퍼월렛 수수료
하이퍼월렛을 통해 애드센스 수익금을 받는 경우, 수수료가 두 가지 주요 항목에서 발생합니다. 첫 번째는 하이퍼월렛 송금 수수료이며, 두 번째는 환전 수수료입니다.
- 송금 수수료
- 하이퍼월렛을 통해 수익금을 은행 계좌로 이체할 때마다 송금 수수료가 부과됩니다. 이 수수료는 송금 금액과 국가에 따라 다르며, 특히 한국에서는 하이퍼월렛에서 직접 원화로 송금받는 것이 가능하지만, 하이퍼월렛 송금 수수료가 $10로 상당히 높은 편입니다. 한화로 계산하면 14500원입니다.(송금을 받는 한국의 시중은행에서 추심수수료라고 떼는 5,000원
1만 원 말고 하이퍼월렛이 떼는 수수료입니다. 이걸 기존에 애드센스는 자체 부담해 왔습니다.) 스위프트 유니온캐시 방식에 비해서 45%나 수수료가 비싸지만, 이게 다가 아닙니다. 국내 은행에서 다시 승금 받은 외환을 찾을 때 추심수수료 5,000원10,000원을 또 뗍니다. 환전에 따른 환전수수료 역시 부담하게 됩니다. 2중 3중으로 수수료가 급증합니다. 그러니 미국에서는 유리한 방식일 수 있어도. 외국에서는 그다지 좋은 방식이 아닙니다. 게다가 하이퍼월렛의 스위프트 망을 이용한 업무 처리 속도가 유니온캐시 송금에 비해서 극악하게 느립니다. - 기존 애드센스-SWIFT-국내은행-송금완료에서, 애드센스-하이퍼월렛-SWIFT-국내은행-송금완료 로 1단계가 더 추가되고 그만큼 수수료를 더 떼이고, 업무는 느려지는 것이죠.
- 하이퍼월렛을 통해 수익금을 은행 계좌로 이체할 때마다 송금 수수료가 부과됩니다. 이 수수료는 송금 금액과 국가에 따라 다르며, 특히 한국에서는 하이퍼월렛에서 직접 원화로 송금받는 것이 가능하지만, 하이퍼월렛 송금 수수료가 $10로 상당히 높은 편입니다. 한화로 계산하면 14500원입니다.(송금을 받는 한국의 시중은행에서 추심수수료라고 떼는 5,000원
- PayPal을 통한 현금화
- 우리에겐 조금 생소하지만 하이퍼월렛의 여러 송금방식 중에서 PAYPAL을 통해 현금화하면 수수료가 0.95$(135$ 이하만, 이상은 무료) 헐. 대략 1400원입니다. 하지만 공짜가 공짜가 아닙니다. 이건 소액에 대한 징벌적(?) 수수료인 셈이고, 실제 해외에서 한국으로 송금받는 금액에 대해서는 4.4% + 0.08% 정도의 수수료가 붙습니다. 4.5%나 되는 수수료를 내야 하는 것이죠. 액수가 적으면 별 돈 아니지만, 액수가 크면 아픕니다. 앞에서 언급한 0.95$ 수수료는 한국에서는 원화로 1500원으로 인출 수수료입니다. 우리가 은행카드로 ATM에서 돈 뽑을 때 인출 수수료 받듯이, 페이팔도 인출 시 수수료를 받습니다. 물론 이 경우에는 현금으로 뽑는 게 아니라, 지정한 한국계좌로 송금받는 방식이긴 하지만 말이죠. 그리고 이 과정이 3~5일 정도 걸립니다.
- 하이퍼월렛이 애드센스 유저들에게는 생소할 수 있겠지만, 아마존판매자, 아이허브 리워더, STOCKX 판매자, 라임쥬서, 위로컬라이저 라벨러 등을 이용하는 사람들에게는 하이퍼월렛이 익숙합니다. 물론 이런 플랫폼들에서 크리에이터나 판매자에게 수익금을 지급하는 방식이 애드센스하고는 비교도 안될 정도로 다양합니다. 여러 방식 중에 하이퍼월렛을 이미 사용들 하고 있던 것인데요. 이런 분들 중 소액을 송금받으며 성격이 느긋한 분들은 느긋한 사람들은 PayPal을 이용합니다. 송금액수가 크면 하이퍼월렛에서라면 SWIFT가 낫지만, 페이오니어를 지급 수단으로 사용하는 플랫폼에서는 절대다수가 페이오니어를 사용합니다. 수수료가 제일 저렴하거든요.
- 환전 수수료
- 앞서 언급했지만, SWIFT건, PayPal이건 미국 바깥의 외국인인 우리들에겐 태생적으로 붙는 수수료가 있습니다. 수익금을 다른 통화로 환전할 경우에도 환전 수수료가 발생한다는 것이죠. 이 수수료는 하이퍼월렛과 수령자의 은행에 따라 다르며, 환전 수수료가 높은 경우에는 수익금에서 차감되는 비율이 상당히 커질 수 있습니다. 시중은행에 비해서, PayPal이 떼가는 환전수수료는 탐관오리가 황구첨정(黃口簽丁)과 백골징포(白骨徵布)하는 수준으로 높습니다.
하이퍼월렛 세금 문제
하이퍼월렛을 통해 수익금을 수령할 때 발생하는 세금 문제는 매우 중요합니다. 한국을 포함한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외환 송금이 이루어질 때 이를 세무 당국이 추적하고, 세금 신고 의무가 발생합니다. 어차피 이 부분은 유니온캐시로 송급 받던 시절에도 세금신고는 당연했던 문제지만, 혹시 페이팔이라는 이름 탓에 세금을 안 낼 수 있을까? 기대하는 분들이 있을까 봐 짚고 넘어가는 문제입니다.
스위프트 송금이건, 수표를 우편으로 받건, PayPal로 수익금을 받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세무 당국이 이를 추적합니다.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화폐로 받는 경우가 아닌 이상, 모든 외환 송금은 세무 당국에 의해 집계됩니다. 그럴 수 밖에 없는 것이 결국 여러분은 달러를 원화로 바꿔야 되기 때문에 시중은행에서 모두 체크됩니다. 빠져나갈 수가 없습니다. 외화는 불쌍한 월급쟁이의 지갑만큼이나 국세청의 천라지망(天羅地網)을 벗어날 수가 없습니다.
- 세금 신고 및 납부 의무
연 1200만원 이상 수익금이 발생하는 경우 수익금에 대해 세금 신고와 납부 의무가 발생합니다. 연 1200만 원 미만은 세금 안 냅니다. 국세청도 연봉 1200만 원 이하는 긍휼히 여깁니다. 그건 직업이 아니거든요. 오히려 복지의 대상이니 국세청은 눈을 감습니다. 아무튼 수익이 발생한 것이기 때문에, 애드센스 수익급을 지급받으면 세금을 내야 합니다. 수익금이 상당한 액수라면 세금 신고를 놓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하이퍼월렛 세금 추적
- 앞서도 말했지만 분명한 것은 하이퍼월렛을 통한 송금도 세무 당국에 의해 추적된다는 것입니다. 어차피 시중은행에서 원화로 환전해야 하기 때문에, 여기서 다 체크됩니다. (명동 길거리 환전상에서 환전할 수도 없습니다. 어차피 구글이 그렇게 돈 주지 않습니다.) 따라서, 애드센스에서 하이퍼월렛을 통해 수익금을 지급받는 것이 세금 회피 방법으로 사용될 수 없다는 점을 명확히 인식해야 합니다. 구글이 하이퍼월렛을 사용하여 다계정 관리 및 부정행위 방지를 목표로 하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세금 문제에 있어서도 구글은 엄격합니다. 다만 다국적이다 보니, 각국의 세금 법률에 일일이 대응을 못할 뿐이죠. 대신 힘센 국가의 세금에 대해서는 철저히 처리해 줍니다. 본사가 있는 미국 세금양식, 아시아 지부가 있는 싱가포르 세금양식에 대해서 블로거분들은 3년마다 체크하시잖아요? 머지않아서 한국 양식도 도입될 것입니다. 소득세 신고 안 하시는 분들 신고하세요. 어차피 애드센스 수익금 지급받는 것은 영세율이라 부가가치세는 안 냅니다. (부가세=/=소득세) 하지만 소득은 발생한 것이기 때문에 소득세 신고를 하셔야 합니다 5월 종합소득세 말이죠 ㅜㅜ.
결론
애드센스가 PayPal Hyperwallet을 통해 수익금을 지급하는 방식은 일부 국가에서는 유리할 수 있지만, 해외 사용자들에게는 수수료와 세금 등의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한국과 같은 국가에서는 하이퍼월렛 송금 수수료가 높고, 환전 수수료와 추심 수수료까지 더해져 실질적인 수익이 크게 감소할 수 있습니다. PayPal을 통해 현금화할 경우 비교적 수수료가 낮지만, 여전히 일정 부분의 수수료는 발생하며, 세금 문제도 놓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하이퍼월렛의 도입 배경을 이해하되, 수익금을 지급받는 방식에 대해 충분히 고려하고, 적합한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러모로 구관이 명관입니다. 그냥 스위프트 망으로 유니온캐쉬 송금을 받는 게 좋겠습니다.
'컴퓨터 인터넷 모바일 it > 블로그 애드센스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스토리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 등록 방법 서치어드바이저 수동 수집요청 (0) | 2025.03.20 |
---|---|
구글 애드센스 오퍼월(offerwall) 설정방법, 수익 후기 (0) | 2025.03.06 |
구글 서치콘솔 사이트맵을 읽을 수 없음 해결방법 (0) | 2025.02.16 |
다음검색 티스토리 최적화 기간과 저품질 확인 방법. (0) | 2025.01.24 |
애드센스 승인 거절 사유: 티스토리 서버 다운과 400 Bad Request 오류 (0) | 2024.12.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