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어원 상식

오상고절 뜻, 傲霜孤節 꽃 너뿐인가 하노라. 낙목한천 (落木寒天)

by 하누혀누IT 2024. 12. 3.

목차

    오상고절 뜻, 傲霜孤節 꽃 너뿐인가 하노라.

    서리가 심한 추위 속에서도 굴하지 않고 홀로 꼿꼿하다. 이 의미를 가진 성어가 바로 오상고절(傲霜孤節)입니다. 이 성어는 외로이 절개를 지키는 충신 또는 국화(菊花)를 비유적으로 나타낸 말로, 깊은 의미와 상징성을 담고 있습니다.

    오상고절(傲霜孤節) 한자 풀이

    • 傲(오): 거만할 오
    • 霜(상): 서리 상
    • 孤(고): 외로울 고
    • 節(절): 마디, 절개 절

    따라서 "서릿발 속에서도 외롭게 절개를 지킨다"는 뜻을 내포하며, 이는 흔히 고난에 굴하지 않는 선비의 기개와 충성스러운 인품을 상징합니다. 또한, 이는 국화의 특성과 맞닿아 있어 국화를 지칭하는 데에도 자주 사용됩니다.


    오상고절의 유래와 의미

    오상고절이라는 성어는 조선 후기 대제학을 지낸 이정보(李鼎輔, 1693~1766) 선생의 시조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의 시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국화(菊花)야, 너난 어이 삼월(三月) 춘풍(春風) 다 지내고,
    낙목한천(落木寒天)에 네 홀로 피었나니.
    아마도 오상고절(傲霜孤節)은 너뿐인가 하노라."

    이 시는 가을 된서리 속에서도 홀로 꿋꿋하게 피어난 국화의 모습을 찬미하며, 이를 인간의 강한 정신력과 불굴의 의지에 빗대고 있습니다. 국화는 춥고 쌀쌀한 늦가을에도 피어나 그 고고함과 절개를 보여줍니다.

    • 낙목한천 (落木寒天) 뜻 : 나뭇잎이 다 떨어진 추운 겨울날

    국화와 오상고절

    국화는 오상고절의 상징적인 꽃입니다. 서리를 맞고도 시들지 않으며 오히려 더욱 빛나는 국화는 선비의 절개와 기개를 나타냅니다.

    국화의 상징성

    1. 고난 극복의 상징: 늦가을 서릿발 속에서도 피어나는 국화는 고난을 이겨내는 인간의 인고와 성숙을 의미합니다.
    2. 사군자의 하나: 국화는 매화, 난초, 대나무와 함께 사군자로 불리며, 각 계절을 대표합니다.
      • 매화: 겨울의 상징
      • 난초: 봄의 상징
      • 국화: 가을의 상징
      • 대나무: 여름의 상징
    3. 삼륜(三倫): 조상들은 국화의 세 가지 덕목을 다음과 같이 칭송했습니다:
      • 德(덕): 일찍 심어 늦게 피는 인내와 성실함
      • 志(지): 서리를 이겨내며 피어나는 기상
      • 氣(기): 물 없이도 피어나는 강인한 생명력

    국화의 꽃말

    국화는 다양한 색상과 꽃말로도 유명합니다. 색상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집니다:

    • 흰색 국화: 성실, 진실, 감사
    • 노란색 국화: 실망, 짝사랑
    • 빨간색 국화: "나는 당신을 사랑합니다"

    국화는 동양에서 재배하는 관상식물 중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오랜 시간 동안 인간의 삶과 문화 속에서 깊은 의미를 더해 왔습니다.


    오상고절이 주는 교훈

    오상고절은 단순히 국화의 특성을 표현하는 성어에 그치지 않습니다. 이는 우리 삶 속에서 어려움 속에서도 굴하지 않고 꿋꿋하게 자신의 길을 걸어가는 자세를 상징합니다. 특히, 현대 사회에서 오상고절은 다음과 같은 가치를 환기합니다:

    1. 인내와 끈기: 힘든 상황에서도 절개를 잃지 않는 태도
    2. 자립과 독립성: 외로울지라도 스스로 설 수 있는 강인함
    3. 절개와 고결함: 흔들림 없이 자신의 신념을 지키는 자세

    결론

    오상고절은 국화의 아름다움을 넘어 인간의 정신력과 인격적 가치를 담고 있는 성어입니다. 국화가 서리를 이겨내며 피어나듯, 우리의 삶도 수많은 도전을 극복하며 성장할 수 있습니다. 고난과 역경 속에서도 자신의 빛을 잃지 않는 삶의 자세를 되새겨 보며, 오상고절의 의미를 마음에 새겨 보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