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tGPT 티스토리 블로그 마크다운 옮길 때 소소한 수정 팁
chatGPT가 일관성을 가지면 좋겠지만, 기분 내키는대로 지시를 어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마크다운 출력 결과물에서 주제목을 H1에 해당하는 “#”부터 시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본문 내 제목글에 H1 마크다운
본문 내 제목글에 H1을 써야 되냐 말아야 되냐 논란이 많지만, 적어도 네이버 Search Advisor에서는 H1을 웹표준 위반으로 인식합니다. 때문에 가급적 본문 내의 제목 최고 레벨은 H2가 돼야 합니다. chatGPT에게 H2가 최고레벨의 제목이 되라고 프롬프트를 주어도 H1부터 시작 할 때가 많기 때문에 반드시 이 부분은 체크하고 수정해야 합니다.

수정팁: EditPlus 같은 텍스트 에디터 프로그램은 문자 replace All기능이 강력합니다.
찾을 말: “# “(따옴표 빼고, 끝에 공백)
바꿀 말: “## “(따옴표 빼고, 끝에 공백)
으로 수정하면 됩니다.
단, 파이썬 소스코드 등의 코드박스를 사용중일 때 주석 # 도 변환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파이썬 소스코드가 들어간 글 작성시에는 소스 코드박스만 다시 덮어 써 줍니다.
반대의 경우도 존재합니다. 최고 레벨 제목을 H3으로 작성해 줄 때도 많기 때문에, 이럴 때는 반대로 수정하면 됩니다. “## ” –> “# “
Bold처리의 텍스트화
마크다운은 **로 시작해서 **로 끝내면 문자를 Bold처리합니다. 하지만, chatGPT는 과도하게 친절해서 특수문자 뒤에 오는 볼드처리 기호를 텍스트화(\를 앞에 붙임)합니다.
- \*\*볼드\*\*
처럼 돼 버리죠.
이러면 티스토리 블로그 에디터는 “**볼드**”로 보여줍니다. chatGPT로 글을 쓰는 대부분의 블로거들이 이걸 수정하지 않고 그냥 발행해버립니다. 글을 한 번도 읽어보지 않는다는 증거죠. 아무튼 이것도 다음과 같이 에디트 플러스에서 수정합니다.
수정팁:EditPlus 바꾸기 기능으로
찾을 말: “\*\*”(따옴표 빼고)
바꿀 말: “** “(따옴표 빼고)
UL, OL list 내의 Latex 단 형식 오류
chatGPT는 UL, OL 리스트에 LaTex 수식 문단을 넣을 때 들여쓰기를 합니다. 그런데 티스토리에 주로 쓰게 되는 MathJax.js 스크립트는 이 리스트내 문단 Latex 수식을 렌더링하지 못하는 오류를 종종 발생시킵니다.


Tip: EditPlus에서 수식 문단을 선택해서 Shift+Tab
을 눌러서 들여쓰기 된 것을 내어쓰기로 바꿉니다. List에서는 벗어나지만, 오류가 발생되지는 않습니다.
chatGTP 표 처리
chatGPT는 비교적 진짜 웹표준에 근접한 결과물을 생성합니다. 이에 반해서 티스토리 에디터는 웹표준 따위는 신경쓰지 않는 혹은 허접한 편입니다. HTML문서에서 표(table)은 Thead, Tbody로 나뉘며, TH, TD를 각각 셀 요소로 사용합니다. chatGPT의 마크다운은 무조건 Thead에 해당하는 영역을 표에 만듭니다. 하지만, 티스토리에서 TH에 대한 StyleSheet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해결 방법은 2가지입니다. 티스토리 스킨의 CSS에 TH에 대한 스타일을 만들어 놓는 방법과, ChatGPT의 결과물의 Thead 내용을 Tbody로 옮기는 것입니다.







Tip: 맨 윗줄 한 줄을 그대로 복사해서 구분선 아래에 추가합니다. HTML에디터로 변경한 수 역시 EditP{lus에서
을 찾아서로 변경해 줍니다. 표가 많은 결과물일 수록 editplus를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고, 표가 1개 밖에 없는 글이라면 직접 수정하는 것이 편합니다.기본모드로 돌아오면 표가 제대로 보입니다. Thead에 해당하는 행이 스타일을 받지 못하기 때문에 못생겨 보입니다. 첫번째 행 아무 셀이나 클릭하면 표 도구가 나옵니다. 중간의 행 지우기를 하고, 맨 왼쪽의 표 스타일을 부여합니다.예뻐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