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퓨터 인터넷 모바일 it/블로그 애드센스 등

티스토리에서 워드프레스로 이전하는 방법 완벽 가이드

by 하누혀누IT 2025. 3. 31.

목차

    티스토리에서 워드프레스로 이전하는 방법 완벽 가이드

    티스토리에서 블로그를 운영하다 보면 언젠가는 나만의 호스팅과 확장성이 뛰어난 워드프레스로 옮기고 싶은 욕심이 생깁니다. 하지만 기존 콘텐츠를 손실 없이 옮기는 과정은 생각보다 복잡하고 까다롭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티스토리에서 워드프레스로 블로그 콘텐츠를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이전하는 방법을 심도 있게 다뤄 보겠습니다.

    티스토리에서 워드프레스로 이전 시 고려해야 할 사항

    티스토리와 워드프레스의 차이

    티스토리는 무료 호스팅 기반의 블로그 서비스로 간단한 사용법과 무제한에 가까운 이미지 저장 용량이 가장 큰 강점입니다. 반면 워드프레스는 자유로운 커스터마이징과 SEO 최적화 기능, 다양한 플러그인을 통한 확장성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자체 호스팅 방식이므로 이미지 저장과 트래픽이 유료로 관리됩니다.

    티스토리에서 워드프레스로 이전 시 주의사항

    • 이미지는 티스토리 서버를 활용하여 비용을 절감
    • RSS를 통한 마이그레이션 방식 선택
    • 퍼머링크 구조 유지 및 오류 최소화

    기존 마이그레이션 방법의 문제점

    티스토리 XML 백업 업로드 방법

    티스토리의 XML 백업 파일을 워드프레스로 업로드하면 모든 이미지 파일도 호스팅 서버로 옮겨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막대한 트래픽 비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무료 서비스의 혜택을 잃게 됩니다.

    크롤링 플러그인 사용 방법

    크롤링 플러그인을 사용하는 방법은 최근 PHP 버전과 호환되지 않고 보안 문제 및 높은 라이센스 비용이 듭니다. 한 달에 수십 달러를 지불하면서까지 오래된 플러그인을 사용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가장 추천하는 RSS.xml을 활용한 티스토리 이전 방법

    RSS.xml 방식의 원리

    RSS는 티스토리의 공개 포스팅을 XML 형식으로 제공하는 표준적인 포맷입니다. 이 파일을 활용해 워드프레스의 '가져오기' 기능을 통해 콘텐츠를 이전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의 가장 큰 장점은 비용이 거의 들지 않고 이미지를 티스토리 서버에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RSS.xml을 활용한 마이그레이션 과정

    1단계: 티스토리 설정 변경하기

    • RSS 글 개수를 45개로 설정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 → 기타 설정 → RSS 공개 개수 45개)
    • RSS 공개 설정은 전체 공개로 설정

    2단계: RSS.xml 파일 저장하기

    브라우저 주소창에 "본인블로그주소.tistory.com/rss" 입력 후 RSS.xml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파일 저장은 브라우저에서 페이지를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선택하면 됩니다.

    3단계: 워드프레스 준비하기

    워드프레스 관리자 패널에서 "RSS Importer" 및 "Longer Permalinks" 플러그인을 설치 및 활성화하고, 퍼머링크 설정을 /entry/%postname%/로 변경하여 주소 길이 문제를 해결합니다.

    4단계: 워드프레스로 RSS 파일 가져오기

    워드프레스 관리자 패널의 '가져오기'에서 RSS.xml 파일을 업로드하여 최근 포스팅을 가져옵니다.

    50개 이상의 포스팅을 처리하는 방법

    RSS.xml은 최대 50개의 게시글만 포함하므로, 50개 이상의 글을 처리할 때는 최근 글을 비공개로 전환한 후 RSS 설정을 재갱신하는 과정을 반복합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됩니다.

    • 티스토리에서 최근 45개의 글을 워드프레스로 가져옴
    • 해당 글을 비공개로 설정
    • RSS 공개 설정을 '부분 공개'로 변경 후 다시 '전체 공개'로 전환하여 RSS 파일 갱신
    • 갱신된 RSS 파일을 다시 워드프레스로 가져오기
    • 이 과정을 전체 포스팅이 옮겨질 때까지 반복

    마이그레이션 이후 발생할 수 있는 문제 해결 방법

    줄 바꿈 및 특수 문자 문제

    티스토리 RSS 파일을 워드프레스로 가져올 때 XML 포맷 차이로 줄 바꿈과 특수 문자(예: &, ", ', - 등)가 깨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는 워드프레스에서 "내보내기"한 파일을 텍스트 에디터로 열어 문자열을 모두 바꾸기 기능을 통해 교정할 수 있습니다.

    • &lsquo, &rsquo, &quo 등 특수 문자 제거
    • 줄 바꿈 표현(>n)을 >로 바꾸기

    이렇게 수정한 파일을 다시 워드프레스의 가져오기 기능을 통해 재업로드하면 대부분의 문제가 해결됩니다.

    이미지 파일 관리 방법

    이미지를 워드프레스 서버에 직접 올리는 것은 비용이 크므로, RSS 방식을 사용할 경우 이미지는 티스토리 서버에 계속 유지됩니다. 따라서 티스토리의 원본 포스팅은 삭제하지 말고 비공개 상태로 유지해야 합니다. 기존 티스토리 블로그는 최소 1년에 한 번 로그인하여 유지 관리해야 합니다.

    도메인 변경 및 이후 관리 팁

    티스토리에서 사용하던 개인 도메인을 워드프레스로 이전할 경우, DNS 설정 변경 및 호스팅 업체를 통한 도메인 연결 작업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검색엔진에서 기존 URL 구조를 유지하면서 SEO 점수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무슨 말인지 이해 안되셨다면, 예시 사진까지 곁들여서 설명한 글을 보세요.

    결론

    티스토리에서 워드프레스로의 이전 작업은 결코 간단하지 않지만, RSS.xml 방식을 활용하면 비용을 최소화하고 이미지를 티스토리에 유지하면서 효과적으로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습니다. 포스팅 수가 많다면 반복 작업이 필요하지만, 최종적으로는 독립적이고 유연한 워드프레스 환경에서 보다 나은 블로깅 경험을 얻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